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 Awakening Field

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 노래 제작 의도와 깊은 사상

한 사람의 깨어남이 세상을 바꾼다.  

당신의 작은 변화가 집단 의식에 파동을 일으킨다.

이 말은 단순한 문장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형태장으로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정보로 연결되어 있으며, 혼자가 아님을 입증합니다.  

이 노래는 그 연결 속에서 필요한 파동을 조율하며 탄생했으며, 개인의 깨어남이 사회 전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노래합니다.


The One Hundred and First Monkey and the Morphic Field: The Intent and Profound Thought Behind the Song

One person's awakening changes the world.

Your small change creates ripples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his is not a simple statement. We are all connected through the Morphic Field—an invisible energy and information network—proving we are not alone.

This song was born by tuning into the necessary vibrations within that connection, singing of how an individual's awakening impacts society as a whole.



백한 번째 원숭이 이야기와 형태장 이론  

영국의 생화학자 루퍼트 쉘드레이크(Rubert Sheldrake)가 내놓은 '형태장(形態場;Morphic Field)' 이론은 형태를 기억하는 에너지장, 즉 형태장이 생물체를 둘러싸고 성장과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입니다. 그런데 그는 형태장이 생명체의 형상뿐만 아니라 생태와 행동양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어떤 종의 한 개체가 습득한 행동양식이 형태장을 통해 같은 종에 속하는 다른 개체에게도 전파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있는 쥐 한 마리에게 새로운 재주를 한 가지 가르치면, 한국에 있는 다른 쥐들도 전부 그 재주를 알게 되고, 심지어 뉴욕의 쥐들도 쉽게 같은 재주를 익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그는 '형태공명(形態共鳴 ,Morphic Resonance)'이라고 불렀습니다. '형태공명'의 가장 극적인 실례는 아마도 저 유명한 '101번째 원숭이' 이야기일 것입니다. 일본의 생물학자들이 한 섬에 사는 원숭이들에게 진흙이 묻은 생고구마를 먹이로 주었습니다. 처음에 원숭이들은 이걸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몰라 머뭇댔습니다. 그런데 머리 좋은 한 원숭이가 고구마를 물에 씻어 먹는 꾀를 냈고 이를 친구들에게 전파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바닷물에 고구마를 씻어먹는 원숭이가 100마리쯤에 이르렀을 때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마치 핵반응이 일어나듯 섬 전체의 원숭이가 하루 만에 모두 이 방법을 알게 된 것입니다. 더 놀라운 건, 그 섬의 원숭이들과 접촉이 전혀 없는 다른 섬의 원숭이들에게까지 그런 습관이 번져나간 것입니다. '100번째 원숭이'를 기점으로 고구마를 씻어 먹는 행위가 거대한 '형태공명'을 일으킨 셈입니다.

1950년대 과학자들은 일본의 한 무인도에 사는 원숭이들을 30년 이상 관찰하며 원숭이들이 먹을 수 있는 고구마를 바닷가에 꾸준히 놓아줬습니다. 원숭이들은 고구마를 즐겼지만, 고구마에 묻은 흙은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18개월 된 원숭이 1마리가 고구마를 강물에 씻어 먹으면 흙이 묻지 않은 고구마를 먹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이 비법을 엄마 원숭이에게 알려줬습니다. 이 섬에 살던 다른 원숭이들도 고구마를 물에 씻어 먹는 법을 서서히 배우게 됐고, 과학자들은 이런 모습을 계속 관찰했습니다.

어느새 이 섬의 모든 어린 원숭이가 이 행동을 배워, 고구마를 맛있게 씻어 막게 되었습니다. 나이 든 일부 원숭이는 어린 원숭이의 행동을 흉내 내 이를 배웠으나 또 다른 나이 든 원숭이들은 계속 흙이 묻은 고구마를 먹었습니다. 그러다 6년을 지낸 어느 날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으나 일정한 숫자의 원숭이가 고구마를 씻어 먹게 되자 확실히 우연적인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100마리의 원숭이들이 고구마를 씻어 먹고 어느 날 1마리가 더하면, 즉 101번째 원숭이가 고구마를 씻어 먹기 시작했을 때, 그날 저녁 그 무인도에 있던 모든 원숭이가 고구마를 씻어 먹게 됐다는 것입니다. 맨 처음 1마리의 혁신적 행동으로 다른 원숭이들이 새로운 행동을 받아들였고, 그게 101마리째 원숭이가 행동하는 순간 그 섬 전체 원숭이들의 관념에 변화를 일으킨 것입니다.

이후 과학자들은 더 놀라운 결과를 관찰하게 됐습니다. 원숭이가 고구마를 씻어 먹는 행동이 바다를 넘어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원숭이들에게도 전파돼 먼 곳의 원숭이들까지 고구마를 씻어 먹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무인도라 다른 섬의 원숭이와는 전혀 접촉이 없고 따라서 모방도 불가능한 다른 지역의 원숭이들 사이에서 그런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The Hundredth Monkey Theory and the Theory of Formative Fields  

British biochemist Rupert Sheldrake's ‘morphic field’ theory posits that an energy field capable of remembering form—the morphic field—surrounds living organisms and exerts a continuous influence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he further claimed that the morphic field influences not only the physical form of living beings but also their ecology and behavioral patterns. Specifically, he proposed that behavioral patterns acquired by one individual of a specie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morphic field to other individuals of the same species. For example, if one rat in Korea is taught a new skill, all other rats in Korea would learn that skill, and even rats in New York could easily acquire the same skill.

He called this phenomenon ‘morphic resonance’. Perhaps the most dramatic example of ‘morphic resonance’ is the famous ‘101st monkey’ story. Japanese biologists fed muddy raw sweet potatoes to monkeys living on an island. At first, the monkeys hesitated, unsure how to eat them. But one clever monkey figured out to wash the sweet potatoes in water and spread this trick to its friends. As time passed, when about 100 monkeys were washing their sweet potatoes in seawater, something astonishing happened. As if a nuclear reaction had occurred, within a single day, every monkey on the entire island learned this method. Even more astonishingly, this habit spread to monkeys on other islands that had no contact whatsoever with the monkeys on that island. Starting with the ‘100th monkey,’ the act of washing sweet potatoes triggered a massive 'morphic resonance.'

In the 1950s, scientists observed monkeys living on an uninhabited island in Japan for over 30 years, consistently placing edible sweet potatoes near the shore. The monkeys enjoyed the sweet potatoes but disliked the dirt clinging to them. Then one day, an 18-month-old monkey discovered that washing sweet potatoes in the river water allowed it to eat them without dirt. It taught this trick to its mother. Gradually, other monkeys on the island learned to wash their sweet potatoes in water, and the scientists continued observing this behavior.

Before long, all the young monkeys on the island learned this behavior and began washing their sweet potatoes clean and eating them. Some older monkeys learned by imitating the young monkeys, but other older monkeys continued eating the dirt-covered sweet potatoes. Then, after about six years—though the exact number is unknown—once a certain number of monkeys were washing their sweet potatoes, a definite phenomenon began to occur. After 100 monkeys had been washing their sweet potatoes, when one more joined them—that is, when the 101st monkey began washing its sweet potato—by that evening, every monkey on the island was washing their sweet potatoes.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at very first monkey led the others to adopt the new action, and the moment the 101st monkey acted, it triggered a shift in the mindset of all the monkeys on the island.

Later, scientists observed an even more astonishing result. The behavior of washing and eating sweet potatoes spread across the sea to monkeys inhabiting other regions, causing monkeys in distant places to start washing and eating sweet potatoes too. This occurred among monkeys in other regions that had no contact whatsoever with monkeys on other islands, making imitation impossible.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어떤 행위를 하는 개체의 수가 일정 규모(임계점)에 달하면 그 행동은 그 집단에만 국한되지 않고 거리나 공간의 차원을 넘어 확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물에게 나타난 이 불가사의한 현상을 미국 과학자 라이언 왓슨은 '101번째 원숭이 현상'이라 이름 붙였고 이 학설은 1994년에 인정됐습니다. 이후 이어진 다른 동물학자와 심리학자의 여러 실험으로 이런 행동 변화는 원숭이뿐만 아니라 인간과 조류, 곤충류 등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라는게 밝혀졌습니다. 왓슨은 생명조류하는 택에서 101번째 원숭이 현상'을 소개하며 인간의 문화와 유행의 원리를 그 현상으로 설명했습니다. 어떤 사고방식이나 사상이 사회에 널리 전파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그 원리는 '어떤 것이 진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가 일정 수에 달하면 그것은 만인에게 진리가 된다'는 것입니다.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when the number of individuals performing a certain behavior reaches a certain threshold, that behavior spreads beyond the confines of the group, transcending distance and spatial boundaries. American scientist Ryan Watson named this mysterious phenomenon observed in animals the ‘101st Monkey Effect,’ and this theory gained recognition in 1994. Subsequent experiments by other zoologists and psychologists revealed that this behavioral change is not unique to monkeys but is also observable in humans, birds, and insects. Watson introduced the ‘101st Monkey Phenomenon’ in his book The Monkey in the Tower, using it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human culture and trends. He described how certain ways of thinking or ideas spread widely throughout societ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once the number of people who believe something is true reaches a certain threshold, it becomes true for everyone.'


노래의 제작 의도와 메시지  

이 노래는 내면의 좌절과 고통 속에서도 “너는 혼자가 아니다”라는 희망과 위로를 전합니다.  

‘백한 번째 원숭이’처럼 개인의 작은 깨어남이 형태장이라는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어 집단 의식을 바꾸는 힘이 된다는 메시지에 집중했습니다.  

가사와 음악은 감성적 서정과 안정적 리듬으로 구성되어, 듣는 이가 깊이 몰입하며 내면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곡은 단순한 치유를 넘어, 우리 모두가 같은 파동 속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함께 깨어나는 연대를 부각시킵니다.


The Song's Intent and Message

This song conveys hope and comfort, saying “You are not alone,” even amidst inner frustration and pain.

It focuses on the message that, like the ‘101st Monkey,’ an individual's small awakening spreads through an invisible network called the morphic field, becoming a force that changes collective consciousness.

The lyrics and music are composed of emotional lyricism and a steady rhythm, designed to allow listeners to deeply immerse themselves and experience inner transformation.

This song goes beyond simple healing, highlighting solidarity—the realization that we are all connected within the same wave, awakening together.


개인과 집단의 각성이 만든 새로운 세상  

우리는 모두 형태장을 통해 연결된 하나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나의 깨어남은 당신과 우리 공동체를 환하게 비추는 빛의 씨앗입니다.  

‘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은 이 같은 개인적 변화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거대한 파동을 낳는다는 희망의 노래입니다.  

이 노래가 모든 이에게 각성과 용기의 메시지를 전하며 내면의 빛을 발견하는 놀라운 여정이 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A new world born from the awaken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We must remember we are all one, connected through the morphic field.

My awakening is a seed of light that brightly illuminates you and our community.

‘The Hundredth Monkey and the Morphic Field’ is a song of hope, expressing how such personal transformation creates a massive wave of positive change throughout society.

I sincerely hope this song delivers a message of awakening and courage to all, becoming an amazing journey to discover your inner light.


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 Awakening Field

[Verse 1] 너의 아픔, 깊은 어둠 속에 내가 함께 느껴, 그 무거운 마음을 실패와 좌절 속에도 너는 빛나 절대 혼자가 아니야, 여기 네 곁에 Your pain, deep within the darkness I feel it with you, that heavy heart Even in failure and despair, you shine You're never alone, I'm here by your side [Pre-Chorus] 작은 한 걸음, 변화의 시작 천천히 퍼지는 희망의 빛처럼 네 깨어남이 닿는 곳마다 새로운 씨앗이 자라나리 A small step, the start of change Like the slowly spreading light of hope Wherever your awakening reaches A new seed will surely grow [Chorus] 백한 번째 원숭이처럼 깨달음이 너를 넘어 퍼져가리 보이지 않는 형태장의 힘으로 우리는 함께 깨어나리 Like the hundred and first monkey Enlightenment spreads beyond you By the power of unseen morphic fields We will awaken together [Verse 2] 우울과 조울, 극단의 갈림길에 너의 마음, 세상을 흔들어 놓아 한 사람의 각성이 큰 빛이 되어 우리 모두의 내일을 밝히리 In the crossroads of depression and mania Your heart shakes the world One person's awakening becomes a great light Lighting the tomorrow of us all [Bridge] 임계점을 넘으면 변화는 폭포처럼 시간과 공간을 넘어 퍼져가 네 작은 행동이 우리 미래, 보이지 않는 연결을 밝히리 Once the threshold is crossed, change flows Like a waterfall, beyond time and space Your small actions, our future Illuminating unseen connections [Chorus] 백한 번째 원숭이처럼 깨달음이 너를 넘어 퍼져가리 보이지 않는 형태장의 힘으로 우리는 함께 깨어나리 Like the hundred and first monkey Enlightenment spreads beyond you By the power of unseen morphic fields We will awaken together [Outro] 어둠 속에서도 빛은 자라나 너의 깨어남이 세상을 살리리 포기하지 마, 이 길 함께 걸어 우리 모두 깨어나 새로운 세상으로 Even in darkness, light grows Your awakening will save the world Don't give up, let's walk this path together We will all awaken to a new world



#희망 #깨어남 #연결 #성장 #영감 #용기 #변화 #의식 #연대 #포용 #평화 #빛 #사랑 #공명 #진화 #절망 #우울 #고립 #혼란 #불안 #포기 #두려움 #좌절 #분노 #슬픔 #Hope #Awakening #Connection #Growth #Inspiration #Courage #Change #Consciousness #Solidarity #Inclusion #Peace #Light #Love #Resonance #Evolution #Despair #Depression #Isolation #Confusion #Anxiety #Resignation #Fear #Frustration #Anger #Sadness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굿바이, 나의 오랜 우울증 Goodbye, my long-standing depression

생각이 만드는 현실 Thoughts Creat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