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만드는 현실 Thoughts Create Reality

이미지
"나는 왜 이렇게 아픈가"라는 질문을 멈추자, 기적이 시작되었다.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 한때 일주일에 60시간 넘게 일하며 성공을 향해 달리던 사업가 '다니엘'은, 어느 날 원인 불명의 극심한 두통과 함께 나락으로 떨어졌습니다. 의학적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전자기파 과민증'. 그는 결국 사업체도, 모든 관계도 잃고 어머니 집 작은 방, 전자기파 차단막 안에서만 숨 쉴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비단 다니엘만의 이야기일까요? 우리 역시 병든 관계, 고갈된 통장, 이유 모를 통증이라는 '숙명'의 무대 위에 갇혀 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빠져나오려 발버둥 칠수록 현실은 더 견고한 벽이 됩니다. 하지만 만약, 이 벽을 부수는 유일한 열쇠가 우리가 '생존'을 위해 쓰던 에너지를 '창조'를 위해 되돌리는 것에 있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우리가 왜 아플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그 고통의 에너지를 어떻게 치유와 풍요의 에너지로 완전히 전환시킬 수 있는지, 그 구체적인 '스위치'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The moment I stopped asking “Why am I in so much pain?”, miracles began. I lost everything. Daniel, a businessman who once worked over 60 hours a week racing toward success, plunged into the depths one day with an excruciating headache of unknown origin. Medically unexplained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He eventually lost his business and all his relationships, able to breathe only within the small room at his mother's h...

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 Awakening Field

이미지
백한 번째 원숭이와 형태장: 노래 제작 의도와 깊은 사상 한 사람의 깨어남이 세상을 바꾼다.   당신의 작은 변화가 집단 의식에 파동을 일으킨다. 이 말은 단순한 문장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형태장으로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정보로 연결되어 있으며, 혼자가 아님을 입증합니다.   이 노래는 그 연결 속에서 필요한 파동을 조율하며 탄생했으며, 개인의 깨어남이 사회 전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노래합니다. The One Hundred and First Monkey and the Morphic Field: The Intent and Profound Thought Behind the Song One person's awakening changes the world. Your small change creates ripples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 This is not a simple statement. We are all connected through the Morphic Field—an invisible energy and information network—proving we are not alone. This song was born by tuning into the necessary vibrations within that connection, singing of how an individual's awakening impacts society as a whole.

나를 아시나요? Do You Know Me?

이미지
우리는 모두 신성한 존재입니다. 단지, 그 사실을 잊었을 뿐입니다. 우리말 '고맙습니다'의 어원이 '신(神)과 같습니다'는 뜻의 **'고마'**에서 왔듯이, '바니하' 역시 상대를 향한 깊은 존중과 감사를 담고 있습니다.  We are all sacred beings. We have simply forgotten that fact. Just as the Korean word ‘고맙습니다’ (thank you) originates from ‘고마’ (meaning ‘like a god’), ‘baniha’ also carries deep respect and gratitude toward others.     1. 노래를 만든 의도: 잃어버린 '신성'과 '자존감'을 향한 물음 "나의 신성이 당신의 신성을 알현합니다." 이 노래는 단순한 존경의 표현이 아닙니다. 이것은 '나를 아시나요? (Do You Know Me?)'라는 노래를 만든 근본적인 의도이자, 인간 존재의 가장 깊은 진실을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외부의 기준과 시선에 의해 우리의 가치를 저울질합니다. 성과가 없는 날은 '나는 부족하다', 관계에서 실수를 하면 '나는 실패자다'라고 스스로를 규정합니다. 이러한 부정적 자기규정은 곧 우울 과 조울 과 같은 감정의 심연으로 우리를 끌어내립니다.  이 노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됩니다. 당신은 누구입니까? 세상의 잣대가 아닌, 당신 본연의 모습은 무엇입니까? 우리의 선조들이 가졌던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 즉 모든 인간은 마땅히 존중받아야 할 신성한 존재 라는 깨달음을 현대인들에게 되돌려주기 위해 이 노래는 태어났습니다. 1. The Intent Behind the Song: A Question for Lost ‘Divinity’ and ‘Self-Worth’ “My divinity p...

먹이를 주는 자 The Feeder

이미지
당신 안에도 '두 마리 늑대'가 살고 있습니까? 한 마리는 '검은 늑대'입니다. 절망, 두려움, 분노, 원망, 그리고 무기력.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생겼지?" "나는 이 상처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을 거야." 과거의 상처(숙명)를 끊임없이 되새기며 당신을 물어뜯습니다. 다른 한 마리는 '흰 늑대'입니다. 희망, 용기, 사랑, 연민, 그리고 감사. "이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나아갈 수 있어." 새로운 가능성(운명)을 향해 나아가려 애씁니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우리는 이 두 늑대가 치열하게 싸우는 '전쟁터' 한가운데에 버려진 '피해자'처럼 느껴집니다. 특히 검은 늑대의 울음소리가 너무나 크고 강력해서, 흰 늑대의 목소리는 들리지도 않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이 지독한 싸움에 지쳐, "나는 왜 이렇게 태어났을까?" "언제쯤 이 고통이 끝날까?" 라는 질문 속에 갇혀버립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영혼이 스스로 설계한 무대, '숙명'의 본질입니다. 그렇다면 이 지독한 싸움에서 결국 어떤 늑대가 이기게 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우리는 정말, 이 싸움의 무력한 '피해자'일 뿐일까요? Do two wolves live within you? One is the ‘ black wolf ’. Despair, fear, anger, resentment, and helplessness. “Why does this always happen to me?” “I'll never escape this wound.” It constantly rehashed past wounds ( fate ) and tore at you. The other is the ‘ white wolf ’. Hope, courage, love, compassion...

눈을 감아야만 보이는 것들 Things Only Seen When Eyes Are Closed

이미지
보이지 않는 세상이 던지는 궁극의 질문 당신이 보는 것은 거대한 우주라는 책의, 오직 첫 페이지만을 읽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 너머의 모든 지혜는, 보이지 않는 세상에 대한 '궁극의 질문'을 던질 때 시작됩니다. The ultimate question posed by the unseen world What you see is like reading only the first page of the vast book that is the universe. All wisdom beyond that begins when you pose the ‘ ultimate question ’ about the unseen world.

당신의 선포가 세상을 바꾸는 이유 - 왕의 귀환과 주권의 법칙

이미지
당신은 당신 왕국의 주인입니까? 왕이 아닌 자는 왕의 권자에 앉을 수 없다. 그럼에도 왕의 부재를 틈타 그 자리에 앉은 자가 있다면, 왕의 귀환 소식만 듣고도 그는 스스로 물러나야만 한다.  이 장엄한 진실은 비단 역사 속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것은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삶과 당신이 발 딛고 선 이 세상 전체를 관통하는 우주의 법칙입니다. 이 글은 노래 '주권을 선포한 날'의 소개를 넘어, 당신이 바로 당신 삶의 유일한 주권자임을 깨닫고, 당신의 '선포'가 어떻게 즉시 당신의 내면과 외부 세계를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를 탐구하는 각성의 여정이 될 것입니다. Are you the master of your own kingdom? No one who is not a king can sit upon the king's throne . Yet if someone were to seize that seat during the king's absence, the mere news of the king's return would compel him to step down of his own accord.  This majestic truth is not merely a tale from history. It is a universal law that permeates your life and the entire world you stand upon at this very moment. This writing will be a journey of awakening, going beyond an introduction to the song ‘The Day Sovereignty Was Declared’. It will explore the concrete principles of how you realize you are the sole sovereign of your life , and how your ‘decl...

굿바이, 나의 오랜 우울증 Goodbye, my long-standing depression

이미지
왕의 선포를 멈추고, '밥 한 술'의 기적을 노래하기까지 여기, 세상에 나오지 못할 뻔했던 노래가 하나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불릴 뻔했던 노래가 있습니다. 저희 '빛의 여정'이 깊은 우울 속을 걷는 분들을 위해 야심 차게 만들었던 첫 번째 노래는, 사실 지금 여러분이 들으실 이 노래가 아니었습니다. 그 노래는 강력했고, 철학적으로 완벽했으며, 저희의 모든 신념을 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노래는 가장 중요한 것, 바로 고통의 한가운데 있는 영혼의 심장에 닿을 수 없다는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었습니다. 이 글은, 그 완벽했던 실패작을 서랍에 넣고,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여 진정한 치유의 노래 '굿바이, 나의 오랜 우울증'을 만들게 된 비하인드 스토리입니다. From halting the king's proclamation to singing of the miracle of ‘a single spoonful of rice’ Here is a song that nearly never saw the light of day. Or rather, a song that might have been sung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The first song we at ‘ Journey of Light ’ ambitiously created for those walking through deep depression was, in fact, not the song you are about to hear now. That song was powerful, philosophically perfect, and contained all our convictions. But it carried a fatal flaw: it couldn't reach the most crucial thing—the heart of the soul in the midst of ...